감자는 우리 밥상에 흔하게 사용되는 식재료입니다. 특히 제철을 맞은 ‘하지감자’는 특유의 포슬포슬함과 고소하고 촉촉한 맛으로 다양한 요리에 쓰입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어떤 요리든지 ‘잊을 수 없는 맛’이 있기 마련입니다. 자주 먹어 별 추억이 없을 것 같은 감자이지만, 기억에 남는 맛의 ‘순간’이 있습니다. ‘하지감자’ 한 알에 담긴 추억의 맛을 들어봤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어떤 추억이 떠오르시나요?
파삭하고 쫄깃한 추억의 맛, 감자전
고향 강원도에서는 해마다 알이 튼실하고, 굵은 햇감자가 나올 때면 주변에 살던 친척들까지 모두 모여 하루 날을 잡고 감자전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감자를 씻는 사람, 껍질을 벗기는 사람, 강판에 가는 사람, 전으로 부치는 사람까지.
감자전은 강판에 갈아 만들어야 제 맛이 난다고들 하죠. 그렇게 만들기 시작하면 너 한입, 나 한입 먹다 보니 부치는 족족 금세 없어집니다. 바삭하고 쫄깃한 감자전이 그렇게 맛있을 수가 없었어요. 감자전으로 배 채워 보는 게 소원일 정도였죠.
이제는 집에서 언제든지 원하는 때 감자전을 해 먹습니다. 배가 부르도록 감자전을 먹을 수 있지만, 예전 같은 맛이 나지 않습니다. 아마, 함께 시간을 보내며 음식을 해 먹던 그 기억이 주는 맛 때문인 것 같아요. - 아이디 소반
감자전 감자를 강판에 쓱쓱 갈아줍니다. 강판에 갈아야 섬유질이 그대로 남아 있어 쫄깃합니다. 간 감자를 짜냅니다. 짜낸 물에서 녹말만 건져 감자 건더기와 섞은 후 간을 한 뒤, 기름을 넉넉히 두른 팬에 한 수저씩 떠서 도톰하게 부칩니다. 이렇게 하면 전분을 따로 넣지 않아도 감자전이 질척해지는 걸 막을 수 있습니다.
'녹색 살림 > 생활재가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더운 여름 보양식, 뭐가 좋을까? (0) | 2012.07.03 |
---|---|
완벽한 휴가를 위한 꼼꼼한 안내서 - 올 여름 휴가, '너'만 있으면 돼 (0) | 2012.07.02 |
우리 가족 원기 회복제, 수박 (0) | 2012.06.08 |
여름철 세균이 가장 활발한 곳, '주방용살균수’로 주방 위생 잡으세요! (1) | 2012.06.04 |
한의사가 전하는 가족 건강 지키는 여름 음료 (0) | 201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