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김장거리'에 해당되는 글 2건

  1. 김장거리 중간점검 다녀왔습니다
  2. 행복중심생협이 소개하는 김장의 모든 것

김장거리 중간점검 다녀왔습니다


오는 11월 30일에는 김장거리를 공급합니다. 올해 김장거리는 팔당과 해남지역의 유기농(전환기 이상) 배추와 팔당, 충남 지역의 김장무, 알타리무 등을 공급합니다. 지난 10월 30일 경기 남양주 팔당으로 조합원들에게 공급할 김장거리가 잘 자라고 있는지 확인하고 왔습니다.

100일 자란 가을배추

전정임 생산자는 올해로 꼬박 19년째 친환경 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관행농업을 해오다 아이들의 건강과 농산물을 이용하는 이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친환경 농업이 답이라는 생각으로 유기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전정임 생산자에게 유기농사의 어려움은 없는지 물었습니다. 기후변화가 심해져 농사짓기가 어렵다는 답이 돌아옵니다. 관행농업에서 사용하는 화학비료나 농약과 달리 유기농사에서 쓰이는 친환경자재는 효과가 크지 않습니다. 그래서 수고한 만큼의 결과물을 얻기 어렵고 생산량도 일정치 않다고 합니다. “그래도 하늘이 봄, 가을 중에 한번은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니 친환경 농업을 이어갈 수 있다”고 말합니다.

언론에서는 배추농사가 잘 된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친환경 생산자들은 여전히 올해 김장농사가 쉽지는 않다고 말합니다. 아무래도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지 않는 만큼 더욱 어렵지 싶습니다. 행복중심생협은 김장배추의 경우 1포기 당 무게 2.2kg 이상, 결구율 80% 이상을 선별해 공급합니다.

3번을 다시 심은 무

임인환 생산자는 청년시절부터 친환경 농업에 관심을 가지고 기회를 엿보다 10년 전 팔당 지역에서 유기농사를 시작했습니다. 임인환 생산자는 올해 무 농사에 많은 공을 들였습니다. 8월 20일에 파종한 무가 날씨가 더워 다 죽어버리고, 두 번째 뿌린 씨는 싹조차 나지 않았습니다. 8월 말, 한번만 더 해 보자는 마음으로 세 번째 뿌린 씨들이 잘 자라주어 정성껏 기르고 있습니다. 11월 초에 수확해 무게 900g 이상은 김장무로, 600g 이상은 동치미 무로 분류하여 공급할 예정입니다. 조금 늦게 심었지만 임인환 생산자의 정성덕분에 무는 잘 자라고 있습니다.

 

 

 

 

 

 

 

 

무를 기르면서 가장 손이 많이 가는 일은 거세미와 톡톡이라는 벌레를 쫓는 일입니다. 친환경자재를 뿌려주지만 관행농업에서 사용하는 농약에 비해 효과가 약해 수시로 돌봐야 합니다. 번거롭지만 믿고 이용해 주는 조합원들을 생각하면 친환경 농사를 선택한 것이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합니다.

늦더위를 이기고 자란 알타리무

9월 8일 씨를 뿌려 이제 60일이 된 알타리가 뽀얀 속내를 드러냈습니다. 박재숙 생산자가 매일 밭에 나와 정성스레 돌본 덕입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올해 상황은 좋지 않습니다.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날이 길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9월인데도 이상기후 때문인지 30도 이상 되는 날이 많았습니다. 지속되는 더위에 알타리도 많이 지쳤던 모양입니다. 그래도 알타리무는 가을 늦더위를 이겨내고, 열심히 자라고 있습니다.

 

 

 

 

 

 

 

 

박재숙 생산자는 내 자식이 먹는다는 생각으로 유기농사를 고집합니다. “농사는 벌레 반, 사람 반 먹는다 생각하는 마음으로 지어야 한다”며 웃습니다. 박재숙 생산지가 정성스럽게 기른 알타리는 11월 초에 수확해 11월 11일부터 조합원을 찾아갑니다.

행복중심생협이 소개하는 김장의 모든 것


김장 전문가, 
행복중심생협이 소개하는 김장의 모든 것

살아 있는 음식, 김치
똑같은 재료를 사용해 김치를 담아도, 담는 사람에 따라 김치맛은 달라집니다. 분명 같은 김치인데도 어제 먹었던 김치맛과 오늘 먹는 김치맛이 다릅니다. 발효 식품인 김치는 보관 장소, 시간, 온도, 용기에 따라 제각기 다른 맛을 냅니다. 막 담갔을 때도, 자연의 시간에 따라 천천히 익어 가면서도, 김치는 고유한 맛으로 우리네 밥상을 책임집니다. 이런 걸 보면 김치는 ‘살아 있는’ 음식입니다.

김치맛은 재료에서 시작한다
김치맛을 결정하는 요인은 많습니다. 하지만 김치맛의 시작은 역시 ‘어떤 재료’를 사용하느냐입니다. 재료라 함은 단순히 김치의 주재료가 되는 배추나 무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배추를 절이는 소금부터 고춧가루, 생강, 양파 등을 시작으로 물까지. 김치맛은 어떤 재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우리 땅에서 정직하게 자란 각종 재료의 본래 맛이 어우러져 맛깔스러운 김치맛을 냅니다. 
1997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에 발표된 한 논문 <김치류 및 절임류의 표준화에 관한 조사 연구(최선규, 황성연, 조재선)>에 따르면 우리나라 김치류 가짓수는 총 336종에 달한다고 합니다. 물론 이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김치는 통배추김치로, 겨울철 김장김치가 여기에 속합니다.

소금이 다 같은 소금이 아니다, 천일염은 다르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에서 2011년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정제염으로 절인 김치보다 천일염으로 절인 김치가 김치 발효에 더 적합하며, 유산균이 풍부하다고 합니다. 무기질 함유가 많은 천일염이 발효 미생물 생육에 도움이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배추를 천일염에 절이면 소금 성분 중 마그네슘이나 칼슘이 배추의 펙틴과 결합해 아삭아삭한 맛을 더해 줍니다.

발효과정에서 얻는 유산균 - 옹기에 김치를 보관하라
원재료인 채소와 다양한 양념에 함유된 영양소 외에도 김치는 발효과정에서 유산균에 의해 발효되면서 유산과 유기산을 생성합니다. 유산균은 식이섬유와 함께 대장 건강을 유지하며 변비 및 대장암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3년에 발표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6권2호에 따르면 김치를 옹기에 보관했을 때 젖산균(유산균)의 증가가 가장 활발했다고 합니다. 보관하는 용기에 따라 유산균 증가 정도가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것이지요.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김치를 담아 독에 넣고 땅에 묻었습니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 김치를 얼지 않게 보관하면서 유산균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었던 것입니다.

발효과정에서 얻는 유산균 - 옹기에 김치를 보관하라
원재료인 채소와 다양한 양념에 함유된 영양소 외에도 김치는 발효과정에서 유산균에 의해 발효되면서 유산과 유기산을 생성합니다. 유산균은 식이섬유와 함께 대장 건강을 유지하며 변비 및 대장암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3년에 발표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6권2호에 따르면 김치를 옹기에 보관했을 때 젖산균(유산균)의 증가가 가장 활발했다고 합니다. 보관하는 용기에 따라 유산균 증가 정도가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것이지요.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김치를 담아 독에 넣고 땅에 묻었습니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 김치를 얼지 않게 보관하면서 유산균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었던 것입니다.



'녹색 살림 > 생활재가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힘내, 우리 딸  (0) 2013.10.14
GMO 나빠요~  (0) 2013.10.14
지금 먹는 제철 생활재  (0) 2013.09.30
환절기에는 도라지  (0) 2013.09.30
환절기를 이기는 똑똑한 생활재  (0) 2013.09.09